페이지 타이틀 배경 모바일 버전

법률정보

관세컨설팅 | 미국 관세협상 후속지원대책 정리

관세컨설팅이 필요하신 기업을 위해 지난 9월 3일 정부가 발표한 정책 금융, 내수 창출 등 미국 관세협상 후속 장단기 지원대책을 정리해드립니다.

CONTENTS
  • 1. 관세컨설팅 | 대미 수출, 관세 인상 품목 중심 감소세arrow_line
  • 2. 관세컨설팅 | 피해기업에 대한 정책 금융 등 단기 지원arrow_line
    • - 무역보험 우대 및 기업 유동성 지원
    • - 물류비, 관세컨설팅, 세제 및 바우처 지원
  • 3. 관세컨설팅 | 내수 창출 및 국내산업 보호 정책arrow_line
    • - 국내 투자 촉진 및 유턴 인센티브
  • 4. 관세컨설팅 | 비관세장벽 대응 등 글로벌 시장 진출 확대arrow_line
    • - R&D·인프라 등 업종별 수출경쟁력 강화
  • 5. 관세컨설팅 | 후속 대책 외 관세 리스크 관리 방법arrow_line

1. 관세컨설팅 | 대미 수출, 관세 인상 품목 중심 감소세

관세컨설팅이 필요하신 기업을 위해 정부가 발표한 미국 관세협상 후속 지원대책을 정리해드립니다.

2025년 상반기 전체 수출액은 유지됐으나 대미 수출은 철강과 자동차, 기계, 알루미늄 등 주력 제조업 품목을 중심으로 감소세를 보였습니다.

관세협상 타결로 25%에서 15%로 인하하여 당초 대비 수출여건은 개선되어 수출 기업의 불확실성은 해소되었으나 15% 관세 부과 역시 수출 하방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습니다.

이에 따라 정부는 관세 피해기업을 위한 단기 금융지원과 중장기 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한 대책을 마련하기 위해 후속지원 방안을 체계적으로 추진 중입니다.

2. 관세컨설팅 | 피해기업에 대한 정책 금융 등 단기 지원

정부는 관세 피해기업의 단기 자금난 해소를 위해 13.6조원의 정책자금을 편성했습니다.

h3 img무역보험 우대 및 기업 유동성 지원

2025년에는 역대 최대 270조원의 무역보험이 공급되며, 중소·중견기업 보험·보증료는 60%까지 할인·연장될 계획입니다.

‘보증한도 특별가산 프로그램’을 통해 대출 보증한도를 1.5~2배로 상향하며, 관세로 인한 경영 악화 기업을 위해 ‘특례심사’를 도입, 보증 요건·한도 완화를 지원할 예정입니다.

특히 미국진출 현지법인은 장기 운영자금 대출시 맞춤형 보증상품을 받을 수 있습니다.

h3 img물류비, 관세컨설팅, 세제 및 바우처 지원

관세 대응 바우처(총 4,200억원)를 통해 물류비 지원한도 역시 기존 3,000만원에서 6,000만원으로 상향됩니다.

관세컨설팅 바우처는 1.5억원까지 상향하여 ‘관세대응 119’를 통해 미국 세관 사전심사(수출입자가 HS 코드 분류, 원산지, 관세율 등 판정 신청 시 미국 세관에서 통관 전 유권해석을 제공) 신청 대행 등 전문 서비스를 지원받을 수 있습니다.

미국 내 55개 공동물류센터 사용료 90% 감면 등 실질적 비용 경감 장치도 마련됐습니다.

또한 철강·알루미늄·파생상품 등 미국 수출 피해 기업을 집중적으로 지원하여 5,700억원 규모의 금리우대 및 맞춤형 증빙 컨설팅, 긴급 융자자금 등이 제공될 예정입니다.

이로써 품목관세 피해 최소화를 꾀하는 겁니다.

3. 관세컨설팅 | 내수 창출 및 국내산업 보호 정책

관세컨설팅 내수 산업 보호

보조금과 인센티브, 불공정무역 대응 등으로 내수 창출과 국내산업 보호도 폭넓게 지원할 예정입니다.

먼저 전기차 전환 지원금, 고효율 가전 환급(최고 등급 제품 10% 환급), 국산 철강재 인센티브, ESS(에너지저장장치) 보급 확대 등으로 해외 수요 감소분을 국내에서 흡수할 수 있도록 지원합니다.

우회수출과 원산지 둔갑 등을 집중 단속하여 불공정 무역으로부터 국내산업을 보호하는 정책도 강화됩니다.

관세청은 ‘무역안보특별조사단’을 통해 우회수출·원산지 둔갑을 집중 단속하며, 보세·덤핑 규제 강화를 위해 통상변화대응법 개정을 추진하는 등 우회덤핑 조사범위 확대, 품질검사증명서(MTC) 제출의무화 등 제도 개선이 이루어집니다.

h3 img국내 투자 촉진 및 유턴 인센티브

국내기업 투자 지원을 위한 100조원 규모의 ‘국민성장펀드’, 첨단산업 투자지원금 등으로 국내 생산기반을 강화하고, 관세피해 기업에 대해 한시적으로 지원 보조금 10%를 가산하고, 유턴보조금 지원 비율을 상향합니다.

지원비율은 기존 57%에서 75%로 상향할 예정입니다.

이외에도 기회발전특구를 지원 우대 지역에 추가하여 국유재산 임대료 감면 확대 등 인센티브를 집중 제공합니다.

4. 관세컨설팅 | 비관세장벽 대응 등 글로벌 시장 진출 확대

해외 마케팅과 수출 상담회, 국내 전시회 개최, 시장 다변화를 위한 아세안, 중동, 중남미 등과의 FTA 추진 가속화, 비관세장벽 대응 등 글로벌 시장 진출을 확대하기 위한 전략은 다음과 같습니다.

  • 2025년 하반기 해외전시회·무역 사절단·한류박람회 등 마케팅 지원을 3,000개사로 확대 및 APEC 연계 상담회에서 2,000개 바이어 유치 추진
  • 아세안, 중동, 중남미 등 신흥 시장 FTA 조기발효, 메가 FTA(CPTPP, RCEP) 활용 등 시장다변화 전략
  • 새로운 시장 진출시 계약서만으로 최대 1억원 특별보증, 수출채권 조기 현금화 보증한도 2배 확대 등 금융 지원 강화
  • ‘해외인증 원스톱 서비스’, 고비용 인증 사전컨설팅, 인증취득 실패 비용 70%까지 보전, AI 기반 기술규제정보 제공 등 비관세장벽 대응체계 구축

h3 imgR&D·인프라 등 업종별 수출경쟁력 강화

수출 경쟁력 강화 위한 관세컨설팅

한류, K-콘텐츠·푸드·뷰티 등 한류를 활용한 수출산업을 육성하기 위한 해외 비즈니스 센터 확대, 원산지 간편인정 품목 추가 지정, K-뷰티 전용 펀드 조성과 주요국 유통망 진출도 지원됩니다.

특히 자동차, 반도체, 이차전지, 바이오, 철강 등 R&D 및 인프라 등 주력품목에는 다음과 같은 강화 정책이 시행됩니다.

산업

주요 추진 계획

예산 및 시기

자동차

AI 자율주행·친환경차 기술 개발

약 3,400억 원('26년)

반도체

‘온-디바이스 AI 반도체’ 개발 및 인프라 구축

- 예비타당성조사 면제('25년 8월)

- 용인 반도체 클러스터 지원 (~'28년)

이차전지

차세대 배터리 기술 확보 및 인프라 구축

- 전고체, 리튬메탈 등 기술 확보

- 특화단지 추가 지정 검토

바이오

AI 융합 바이오파운드리 등 제조 혁신 및 인프라 구축

- 1,263억 원 ('25~'29년)

- 특화단지 기반 시설 국비 지원

- 공공 위탁개발생산 지원

철강

저탄소 수소환원제철 실증

8,146억 원 ('26~'30년)

5. 관세컨설팅 | 후속 대책 외 관세 리스크 관리 방법

미국 관세협상 후속 지원대책의 종합적 실행 외에도 세부적인 맞춤형 기업 자문이 필요하시다면 본 법인의 기업법무그룹에 연락주시기 바랍니다.

미국법자문 미국변호사, 관세사 자격 보유 관세전문위원 등 미국 시장의 특수성을 깊이 이해하는 관세 스페셜리스트가 미국 세관 규정 및 사전심사 시스템, 비관세 장벽, 관세 분쟁 위험 등 미묘한 법률 리스크에 대한 대응책을 제공하겠습니다.

[관세컨설팅 업무 소개]

대륜로고
관련 정보
배경

대륜의 주요 강점

로펌 대륜만의 AI·IT
기술 활용 소송 전략
290명 이상
주요 구성원
지난 7년간 종결건수 기준
40000+건의
사건수행건수

*대한변협 광고 규정 제4조 제1호 준수

기업 변호사
법률상담예약

모든 상담은 전문변호사가 사건 검토를 마친 뒤
전문적으로 진행하기에 예약제로 실시됩니다.

가급적 빠른 상담 예약을 권유드리며,
예약 시간 준수를 부탁드립니다.
만족스러운 상담을 위해 최선을 다하겠습니다.

전화상담 1660-1037

365일 24시간
상담접수가능

전화예약

카톡상담

카카오톡채널

법무법인 대륜 변호사

카톡예약

온라인상담

맞춤 법률서비스를
제공합니다.

모든 분야 한 눈에 보기

1/0